폭스바겐 골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스바겐 골프는 폭스바겐이 생산하는 전륜구동 방식의 소형차이다. 1974년 비틀의 후속으로 1세대가 출시된 이후 8세대에 걸쳐 생산되었다. 골프는 다양한 파생 모델과 고성능 모델, 그리고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포함하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판매되었다. 여러 차례 "유럽 올해의 차"와 "세계 올해의 차"에 선정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수입차 부문에서 여러 차례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지프 체로키
지프 체로키는 1974년부터 2023년까지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된 지프의 대표적인 SUV 모델로, 디자인과 성능 변화, 유니바디 설계(2세대), 전륜구동 방식 도입(5세대) 등 혁신적인 시도와 함께 차명에 대한 문화적 민감성 논란이 있는 차량이다. - 1974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브리사
기아 브리사는 마쓰다 패밀리아를 기반으로 1973년부터 1981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픽업 트럭으로 먼저 출시된 후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추가되어 1970년대 경제적인 승용차로 인기를 얻었으나 자동차산업 합리화조치로 단종되었으며, 영화 《택시운전사》에 등장하여 다시 주목받았다. - 폭스바겐의 차종 - 폭스바겐 아마록
폭스바겐 아마록은 폭스바겐에서 생산하는 중형 픽업트럭으로, 2010년부터 생산된 1세대 모델은 다양한 엔진과 구동 시스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22년부터 생산되는 2세대 모델은 포드 레인저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안전성과 파워트레인이 향상되었다. - 폭스바겐의 차종 - 폭스바겐 투아렉
폭스바겐 투아렉은 2002년 폭스바겐에서 출시되어 포르쉐 카이엔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다카르 랠리 3연패 등의 모터스포츠 성과를 가진다. - 준중형 승용차 - 기아 스포티지
기아 스포티지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 SUV로, 1993년 1세대 출시 이후 현재 5세대 모델까지 판매되며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해왔다. - 준중형 승용차 - 현대 아반떼
현대 아반떼는 199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승용차로, 국내에서는 아반떼, 해외에서는 엘란트라 또는 란트라로 판매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차체 형태를 갖춘 베스트셀러 모델이지만 일부 세대에서는 품질 논란이 있었다.
폭스바겐 골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폭스바겐 |
생산 기간 | 1974년–현재 |
차종 | 준중형차/소형 패밀리 카 (C) |
선행 차종 | 폭스바겐 비틀 (1세대만, 1998년까지) |
후속 차종 | 폭스바겐 ID.3 (e-Golf의 경우) |
역사 | |
생산 시작 | 1974년 3월 29일 |
2500만 번째 생산 | 2007년 3월 30일 |
3000만 번째 생산 | 2013년 6월 14일 |
45주년 | 2019년 3월 29일 |
디자인 및 플랫폼 | |
차체 스타일 | 3도어 해치백 5도어 해치백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4륜구동 |
차대 | 모노코크 |
플랫폼 | 폭스바겐 그룹 MQB 플랫폼 |
디자이너 | 조르제토 주지아로 (1세대) |
관련 차종 | |
관련 차종 | 폭스바겐 제타 폭스바겐 시로코 폭스바겐 뉴 비틀 |
수상 | |
유럽 올해의 차 | 1992년 |
생산지 | |
생산지 | 독일 니더작센주 볼프스부르크 |
2. 개발의 경위
나치 독일 시대에 페르디난트 포르셰가 설계한 타입 1 (비틀)을 생산하는 국책 기업으로 설립된 폭스바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생용 타입 1을 생산하며 크게 성장했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설계가 오래되어 후속 차종 개발이 필요해졌다.
나치 독일 시대에 페르디난트 포르셰가 설계한 타입 1 (비틀)을 생산하던 폭스바겐은 1960년대 들어 노후화된 타입 1의 후속 모델 개발 필요성을 느꼈다. 초기에는 포르셰에 의뢰하여 뒷좌석 아래 엔진을 배치한 "EA266"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나, 비용, 소음, 진동 및 조종 안정성 문제로 인해 루돌프 라이딩 사장 취임 후 백지화되었다.[129][130] 이후 베르너 홀스테 박사의 주도로 횡치 엔진 전륜구동 방식을 채택하고,[131] 이탈리아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에게 디자인을 의뢰하여[132] 1974년 초대 골프가 탄생했다.
1965년 당시 폭스바겐 사장이었던 하인리히 노르트호프는 신형차 설계를 포르셰에 위탁했고, 포르셰는 이에 응하여 'EA266'을 개발했다. 이 차는 수평 실린더의 엔진을 뒷좌석 아래 바닥에 가로로 배치하는 미드십 레이아웃을 채택하여 패키징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도 있었다.[129] 한편, 당시 아우디 NSU 아우토 유니온에서 아우디 80 개발을 담당했던 개발 책임자 루드비히 클라우스는 뒷좌석 아래에 악취와 소음을 내는 엔진을 탑재하고, 그 레이아웃 때문에 차고가 높아지는 EA266에 부정적이었으며, 루돌프 라이딩에게 지금까지 들인 개발 비용과 앞으로 들 예정인 금액을 듣고 개발을 중지하도록 권했다.[130] EA266은 타입 1과 마찬가지로 개런티를 1대당 포르셰에 지불하는 계약이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용 면에서 비싼 상품이었다. 또한 조종 안정성 측면에서도 고에너지 시 제어하기 어려운 특성은 당시 기술 수준으로는 해결이 어려웠다. 노르트호프의 급사로 폭스바겐 사장이 된 쿠르트 로츠는 EA266 개발을 진행했지만, 후임이 된 루돌프 라이딩은 EA266의 생산 계획을 백지화했다.
초대 골프의 개발 책임자가 된 베르너 홀스테 박사는 충돌 안전성 측면에서 횡치 엔진을 선호했으며, 1970년에 로츠로부터 이 레이아웃을 양산차에 채용하는 허가를 받았다.[131] 조르제토 주지아로에게 스타일링을 의뢰하고, 엔진을 아우디 NSU 아우토 유니온, 기타는 폭스바겐 기술 부문에서 개발된[132] 타입 1의 후속 차종이 초대 골프이다.
3. 역사
초대 골프는 효율적인 패키징과 실용성으로 비틀의 성공을 이어받아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특히 1976년 출시된 고성능 모델 GTI는 '핫 해치'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135][136] 이후 골프는 세대를 거듭하며 기술 혁신을 이루었다. 2세대(1983년)는 차체를 키우고 사륜구동 모델(싱크로)을 선보였으며, 3세대(1991년)는 스테이션 왜건과 카브리올레 모델 추가, VR6 엔진 도입 등으로 라인업을 확장하고 1992년 유럽 올해의 차를 수상했다. 4세대(1997년)는 품질 고급화에 주력하고 고성능 모델 R32를 출시했으며, 5세대(2003년)는 플랫폼 개선과 함께 직분사 엔진, DSG 변속기, 다운사이징 엔진 등 신기술을 도입하며 일본 임포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다.
6세대(2008년)는 디자인 완성도와 정숙성을 높여 2009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와 일본 임포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고, 7세대(2012년)는 새로운 모듈형 플랫폼인 MQB를 최초로 적용하여 경량화와 생산 효율성을 높였으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과 첨단 안전 장비를 탑재하여 2013년 세계 올해의 자동차와 수입차 최초 일본 올해의 차 대상을 수상했다. 가장 최신 모델인 8세대(2019년)는 디지털화와 전동화(48V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강화하고 커넥티비티 기능을 대폭 확대했으며, 4회 연속 일본 임포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하며 꾸준한 인기를 증명하고 있다.
골프는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는 모델로, 특히 영국에서는 2009년 3월까지 150만 대 이상 판매되며 가장 인기 있는 차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1세대 출시 당시 대기자 명단이 생길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대한민국에서도 골프의 인기는 상당하다. 2005년 폭스바겐의 한국 시장 재진출 이후 빠르게 인기를 얻어 2009년 4월에는 수입차 판매량 2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특히 2.0리터 TDI 디젤 모델이 큰 인기를 끌었다. 수많은 골프 동호회가 활동하고 있으며, 정식 수입되지 않았던 4세대 GTI나 R32 모델도 마니아층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누렸다.
3. 1. 1세대 (1974년-1983년)
1974년 5월,[8] 폭스바겐은 오랫동안 생산해 온 폭스바겐 비틀을 대체할 현대적인 전륜구동 방식의 차량으로 '''폭스바겐 골프 1세대'''(Typ 17)를 출시했다. 이탈리아의 유명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과 패키징을 담당했으며,[133] 횡치 엔진을 탑재한 전륜구동(FF) 레이아웃은 소형차로서 이상적인 형태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보여주었다. 컴팩트한 외형에도 불구하고 넉넉한 실내 공간을 확보했으며, 이는 당시 기술적으로 뒤처져 있던 폭스바겐의 설계 사상을 크게 발전시킨 혁신적인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골프 1세대는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약 680만 대가 생산되었다.
골프 1세대는 다양한 파생 모델을 선보였다.
이 파생 모델들은 모두 큰 인기를 끌었으나, 좌핸들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를 별다른 개조 없이 우핸들 모델에 장착하는 바람에 우핸들 모델의 브레이크 성능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특히 해외 수출 시장에서 문제가 되었다.
골프 1세대는 여러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폭스바겐 래빗'''(Volkswagen Rabbit)으로, 멕시코에서는 '''폭스바겐 카리브'''(Volkswagen Carib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8]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세대 골프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이 1984년부터 2009년까지 '''폭스바겐 시티 골프'''(Volkswagen Citi Golf)라는 이름으로 생산 및 판매되었다.[9]
엔진 종류 | 배기량 | 형식 | 최고 출력 (PS) | 비고 |
---|---|---|---|---|
가솔린 | 1.1L | 직렬 4기통 SOHC | 50 | |
가솔린 | 1.3L | 직렬 4기통 SOHC | 60 | |
가솔린 | 1.5L | 직렬 4기통 SOHC | 70 | 일본 초기 수입 모델 (LS) |
가솔린 | 1.6L | 직렬 4기통 SOHC | 75 | 일본 수입 모델 (LSE/E/GLE) |
가솔린 | 1.6L | 직렬 4기통 SOHC 인젝션 | 110 | GTI |
가솔린 | 1.7L | 직렬 4기통 SOHC 인젝션 | 정보 없음 | 일본 수입 모델 (Ci/GLi) |
가솔린 | 1.8L | 직렬 4기통 SOHC 인젝션 | 112 | GTI 후기형 / 카브리오 후기 |
디젤 | 1.5L | 직렬 4기통 디젤 | 50 | 일본 수입 모델 (D/GLD) |
디젤 | 1.6L | 직렬 4기통 디젤 | 54 | 일본 수입 모델 (D/CD/GLD) |
디젤 | 1.6L | 직렬 4기통 터보디젤 | 70 | GTD / 일본 수입 모델 (GTD) |
=== 일본 시장 ===
일본에서는 1975년부터 야나세를 통해 수입 판매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4도어 LS 모델이 판매되었으며, 당시 후륜구동 방식의 비틀에 익숙했던 소비자들에게 전륜구동으로의 급격한 변화와 토요타 마크 II 상위 트림과 맞먹는 높은 가격 때문에 판매가 부진했다고 전해진다.[137] 이후 일본의 배기가스 규제 등에 맞춰 여러 차례 연식 변경이 이루어졌다.
- 1976년: 삼각창 개폐식 변경, 1.6L LSE 모델 및 2도어 모델 추가.
- 1977년: 1.5L 엔진 단종, 전 차종 1.6L 엔진으로 변경 (E/GLE 등급). 1.5L 디젤 모델(D) 추가.
- 1978년: 배기가스 규제로 인해 다시 1.5L 가솔린 엔진으로 변경. 디젤 상위 등급(GLD) 추가.
- 1979년: 앞뒤 범퍼가 철제에서 수지(플라스틱) 재질로 변경되어 전장 증가.
- 1980년: 다시 1.6L 가솔린 엔진으로 변경. 카브리오 모델 등장.
- 1981년: 1.7L 신형 가솔린 엔진 및 1.6L 디젤 엔진으로 변경. 후미등 디자인 변경(대형화).
- 1982년: 등급명 변경 (Ci/GLi/C Diesel/GL Diesel).
- 1983년: 1.6L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한 GTD 모델 추가. GTI 모델은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
=== 카브리올렛 ===
골프 카브리올렛의 코치워크와 소프트톱 제작은 비틀 카브리올렛(Typ 15) 시절부터 협력해 온 카르만이 담당했다. 후속 모델인 골프 2세대에서는 카브리올렛 모델이 별도로 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1세대 기반의 카브리올렛은 '클래식 라인' 등의 이름으로 골프 3세대 카브리올렛이 등장하기 전인 1994년까지 생산 및 판매된 장수 모델이 되었다.[8]
- 1985년: 1.8L 엔진으로 변경.
- 1989년: 대형 컬러 범퍼, 4등식 헤드램프 등으로 외관 대폭 변경.
- 1992년: 최종 한정판 '클래식 라인' 출시 (가죽 시트, 알루미늄 휠, 메탈릭 컬러 적용).
=== 기타 파생 모델 ===
- '''폭스바겐 시로코''': 골프 플랫폼 기반의 스포츠 컴팩트 쿠페.
- '''폭스바겐 제타''': 골프 기반의 세단.
- '''폭스바겐 캐디 / 래빗 픽업''': 골프 기반의 모노코크 방식 픽업 트럭. 휠베이스가 연장되었다.

3. 2. 2세대 (1983년-1992년)
1983년 10월, 1세대 골프의 첫 번째 풀 모델 체인지인 2세대(Mk2, 형식명 19E) 골프가 출시되었다.[138] 일본에서는 1984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2세대 골프는 1세대보다 휠베이스와 전장이 길어졌고, 전체적으로 차체가 더 둥글게 다듬어졌다. 초기 모델은 1세대처럼 앞문 창문에 고정식 삼각창이 있었고, 선루프는 수동 개폐식, 자동변속기는 3단이었다. 또한 초기 우측 핸들 사양의 와이퍼는 좌측 핸들용 부품을 그대로 사용했으나, 제조사는 닦는 면적을 넓혀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1세대 골프의 트림 중 하나였던 골프 컨트리(Golf Country)에는 싱크로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되었는데, 2세대 골프에서는 엔진에 슈퍼차저(과급기)를 장착한 G60 모델에 싱크로 사륜구동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G60 모델은 1989년에 출시되었으며, 160마력(bhp)의 출력과 ABS 브레이크 시스템을 기본으로 갖추었다.
1984년 2월에는 2세대 골프를 기반으로 한 세단 모델인 폭스바겐 제타 2세대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2세대 골프 기반의 카브리올렛 모델은 별도로 출시되지 않았고, 1세대 골프 카브리올렛이 계속 생산되어 해당 라인업을 대체했다.
일본 시장에서는 2세대부터 GTI 모델의 정식 수입이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SOHC 8밸브 GTI가 도입되었고, 이후 DOHC 16밸브 엔진을 얹은 GTI 16V가 추가되었다. 당시 GTI는 피렐리 P6 타이어를 장착했으며, 순정 휠 역시 피렐리의 'P' 로고가 디자인된 것이 특징이었다. GTI 16V 모델은 4등식 그릴을 가졌으나, 일본 내 안전 기준(보조등 중심은 헤드라이트 중심보다 위에 있을 수 없음) 때문에 중앙의 2등은 점등되지 않았다. 또한, 1986년에는 세계 최초로 디젤 엔진(형식 "1V")에 산화 촉매를 장착했지만, 일본 사양에는 3세대 모델부터 적용되었다.
2세대 골프는 두 차례의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다.
- 1차 마이너 체인지: 고정식 삼각창이 폐지되고 도어 미러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엠블럼 디자인도 변경되어, 기존에 오른쪽 끝에 있던 VW 마크와 Volkswagen 문자가 중앙의 VW 마크만 남게 되었다. 차명 로고도 "GOLF"에서 "Golf"로 변경되었으며, 우측 핸들 사양의 와이퍼가 전용 부품으로 개선되었다.
- 2차 마이너 체인지: 범퍼 형상이 변경되어 차체 하부까지 덮는 더 크고 현대적인 디자인(통칭 '빅 범퍼')이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에는 개인이 수입한 2세대 골프가 상당수 존재하며, 이 중 약 3~4대의 GTI 모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제원 ===
항목 | 내용 |
---|---|
차명 | 폭스바겐 골프 (2세대) |
형식명 | 19E |
판매 기간 | 1983년 ~ 1992년 |
차체 유형 | 3도어 / 5도어 해치백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사륜구동 (싱크로) |
엔진 | 직렬 4기통 1.6L / 1.8L 가솔린 직렬 4기통 1.6L 디젤 / 터보디젤 |
변속기 | 5단 수동변속기 / 3단 자동변속기 |
서스펜션 | (전) 맥퍼슨 스트럿, (후) 토션빔 액슬 (트레일링 암) |
브레이크 | (전) 디스크 / (후) 드럼 |
전장 | 3985mm |
전폭 | 1665mm |
전고 | 1415mm |
휠베이스 | 2475mm |
차량 중량 | 1030kg (CLi 5도어 3단 자동변속기 후기형 기준) |
승차 정원 | 5명 |
=== 엔진 라인업 (일본 사양 기준) ===
=== 주요 파생 모델 ===
- '''골프 싱크로 (Syncro)'''
골프에 비스커스 커플링을 이용한 풀타임 사륜구동 시스템을 탑재한 모델로, 양산차 최초로 비스커스 커플링 방식의 사륜구동을 적용했다. 외관상 그릴, 펜더, 후면에 'Syncro' 엠블럼이 부착되었고, 실내에는 높아진 센터 터널, 뒷좌석용 공조 덕트, 글로브 박스의 'Syncro' 엠블럼 등의 차이가 있었다. 노면 상황에 따라 구동력 배분을 앞뒤 95:5에서 5:95까지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좌측 핸들, 수동변속기 사양만 판매되었다. 세단인 제타에도 싱크로 모델이 있었으나, 이는 폭스바겐 측의 실수로 수입되었다는 설이 있다.
- '''골프 컨트리 (Country)'''
싱크로 모델을 기반으로 최저 지상고를 높이고, 트렁크 외부에 파이프 형태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를 장착한 모델이다. 독특한 외관으로 오늘날 크로스오버 SUV의 선구자적인 모델로 평가받기도 한다.[139] 생산은 독일이 아닌 오스트리아의 슈타이어-다임러-푸흐(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생산으로 유명)에서 담당했다. 일본에서는 1991년에 110대가 한정판으로 수입되었다.
- '''골프 랠리 (Rallye)'''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WRC) 참가를 위해 개발된 모델로, 사륜구동 시스템과 코라르도에 사용된 G60 슈퍼차저 엔진을 탑재했다. 에어컨이 기본 사양에 없었으며, 일본에는 정식 판매되지 않았다. 사각형의 얇은 헤드라이트와 크게 부풀린 오버 펜더가 외관상의 특징이다.
- '''골프 G60 Limited'''
골프 랠리와 마찬가지로 G60 슈퍼차저 엔진과 싱크로 사륜구동 시스템을 탑재했지만, 4도어 모델도 존재했으며 외관은 일반 골프와 거의 동일했다. 역시 일본에는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
=== 트림 (일본 사양 기준) ===
Ci, CLi, GLi, GLX, GTI, GTI 16V, C 디젤, CL 디젤, CLD 터보, GTD
3. 3. 3세대 (1991년-1999년)

1991년 8월, 3세대 '''골프(Mk3, 형식명 1H)'''가 독일에서 처음 출시되었다. 이전 모델보다 약간 더 커졌지만 휠베이스(2475mm)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020mm, 전폭 1695mm, 전고 1420mm (CLi 5도어 기준)였다.
새로운 엔진으로 골프 최초의 TDI 디젤 엔진과 좁은 각 V형 6기통 2.8리터 VR6 엔진이 도입되었다. 미국 환경 보호국(EPA)의 연비 추정치는 도심 주행 시 , 고속도로 주행 시 7.4L/100 km였다. 서스펜션은 전륜 맥퍼슨 스트럿, 후륜 토션빔 액슬 방식을 사용했고, 브레이크는 전륜 디스크, 후륜 드럼 방식이 기본이었다.
1993년 9월에는 처음으로 스테이션 왜건 모델인 골프 바리안트(Golf Variant)가 라인업에 추가되었고(대부분 시장에는 1994년 초 도입), 같은 해 Mk1 기반의 구형 모델을 대체하는 완전히 새로운 Mk3 기반의 카브리올레 모델도 출시되었다. 이 카브리올레는 1999년 말에 4세대 골프(Mk4) 스타일로 외관이 변경되어 2002년까지 생산되었다. 노치백 세단 버전인 폭스바겐 벤토(북미에서는 제타)는 1992년 1월에 출시되었다.
3세대 골프는 1992년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되며 새로운 시트로엥 ZX와 오펠 아스트라를 앞섰다.
미국, 캐나다, 남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1999년까지 판매되었으며, 멕시코에서는 "Mi"라는 특별판으로 판매되었다. 이 특별판은 에어컨, 특수 인테리어, 순정 검은색 틴티드 후방 브레이크등, ABS 등을 갖추었고, 1.8리터 엔진 대신 2.0리터 엔진이 장착되었다. 모든 트림에는 열선 시트가 제공되었다.
일본에서는 1992년에 출시되었다. 당시 폭스바겐이 록 밴드 본 조비의 일본 공연 스폰서였기 때문에 한정판 "Bon Jovi Edition"이 출시되었고, 유럽에서는 핑크 플로이드 사양도 있었다. 1995년에는 코라도에 먼저 탑재되었던 좁은 각 V형 6기통 VR6 엔진을 얹은 "VR6" 모델이 일본에 추가되었다. 이 모델은 아우토반에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나 BMW 7 시리즈와 대등하게 달릴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반 해치백 및 왜건 모델은 1997년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나, 컨버터블 모델은 외관을 4세대 골프(Mk4)와 유사하게 변경하여 2002년까지 생산을 이어갔다.
일본 시장에서 VR6와 GTI 모델은 브리스터 펜더를 적용하여 전폭이 1710mm로 3넘버 차량으로 등록되었고, 나머지 모델은 전폭 1695mm로 5넘버 규격에 맞췄다. 또한, 일본 내 골프의 좌측 핸들 사양과 디젤 엔진 탑재 차량의 정식 수입은 3세대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 (디젤 엔진 모델은 2019년 10월에 부활).
엔진 종류 | 배기량 | 형식 | 주요 탑재 등급 |
---|---|---|---|
가솔린 | 1.6L | 직렬 4기통 | |
가솔린 | 1.8L | 직렬 4기통 SOHC | CLi |
가솔린 | 2L | 직렬 4기통 SOHC | GLi |
가솔린 | 2L | 직렬 4기통 DOHC 16밸브 | GTI |
가솔린 | 2.8L | 좁은 각 V형 6기통 SOHC (VR6) | VR6 |
디젤 | 1.9L | 직렬 4기통 TDI | CL 디젤 |
- '''변속기''': 4단 자동 / 5단 수동
- '''구동 방식''': 전륜구동 / 사륜구동 (싱크로)
- '''차체 형식''': 3도어/5도어 해치백, 5도어 스테이션 왜건 (바리안트), 2도어 카브리올레
3. 4. 4세대 (1997년-2005년)


1997년 8월에 처음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에 1998년형 모델로 출시되었다. 1998년 8월에는 노치백 세단 버전인 폭스바겐 보라(북미에서는 폭스바겐 제타)가, 1999년 3월에는 새로운 골프 왜건(바리안트) 모델이 추가되었다. Mk3 기반의 카브리올레 모델은 1999년 말, Mk4와 유사한 범퍼, 그릴, 헤드라이트를 적용하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당시 폭스바겐 회장이었던 페르디난트 피에히의 주도 아래 고급화 노선을 추구하여 개발되었다. 이전 세대에 비해 도장 품질, 차체 패널 간의 단차, 부품 조립 정밀도 등 내외장 마감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다. 차체 폭은 처음으로 대한민국의 중형차 기준인 1700mm를 넘었다. 플랫폼은 아우디 A3 1세대, 아우디 TT 1세대, 스코다 옥타비아 1세대, 세아트 레온 1세대 등 폭스바겐 그룹 내 여러 차종과 공유했다.
차체 전체에 아연 도금 처리를 하고 고장력 강판 사용 비율을 높였으며, 레이저 용접 기술을 도입하여 차체 강성과 안전성을 크게 개선했다. 일부 물량은 독일 통일 이후 옛 동독 지역의 산업 부흥을 위해 모젤(Mosel) 공장에서 생산되기도 했다.
이 세대부터 고성능 모델인 R32가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R32는 3.2리터 VR6 엔진과 4Motion 사륜구동 시스템을 탑재했다. 일본 시장에는 2도어(좌핸들) 500대, 4도어(우핸들) 400대가 한정 수입되었다. 이 외에도 2.8리터 VR6 엔진을 얹은 골프 V6 4Motion과 1.8리터 터보 엔진(1.8T)을 장착한 모델도 있었다.
초기 모델에 탑재된 아우디의 1.8리터 DOHC 5밸브 엔진은 성능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높은 생산 비용과 일본 시장의 자동변속기(AT) 선호도를 고려하여 이후 구형의 2.0리터 SOHC 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일부 자동차 평론가들로부터 성능 저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40] 또한, 4세대부터 모든 모델에 전륜 디스크 브레이크가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파생 차종으로는 세단 모델인 폭스바겐 보라와 레트로 디자인의 폭스바겐 뉴 비틀이 있다.
유럽 시장에서는 2006년 단종되었으나, 브라질, 중국, 멕시코 등 일부 국가에서는 Mk4.5라는 이름으로 디자인을 일부 변경하여 계속 생산되었다. 캐나다에서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시티 골프(City Golf)'와 '제타 시티(Jetta City)'라는 이름으로 Mk4.5 모델이 판매되었다. 이 모델들은 86kW의 출력을 내는 2.0리터 8밸브 SOHC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 옵션을 제공했다. 중국 시장에서는 2006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보라 HS'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브라질에서는 2013년까지 Mk4.5 모델이 생산되었다.
엔진 종류 | 엔진 형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적용 모델 (트림) |
---|---|---|---|---|---|
가솔린 | 직렬 4기통 1.6L SOHC | 1595cc | E / L | ||
가솔린 | 직렬 4기통 1.8L DOHC 20밸브 | 1781cc | 125PS | 17.3 kgfm | CLi / GLi (초기형, 일본 사양 98년식 한정) |
가솔린 | 직렬 4기통 1.8L DOHC 20밸브 터보 | 1781cc | 150PS/5,700 rpm | 21.4 kgfm/1,750-4,600 rpm | GTI / GTX |
가솔린 | 직렬 4기통 2.0L SOHC | 1984cc | 115PS | 17.3 kgfm | CLi / GLi / L Plus |
가솔린 | 협각 V5 2.3L | 2324cc | (일본 미출시) | ||
가솔린 | 협각 V6 3.2L SOHC | 3189cc | 241PS | 32.6 kgfm | R32 |
- 후기형 자연흡기(NA) 엔진에는 가변 흡기 매니폴드가 적용되어 연비와 출력이 개선되었다.
3. 5. 5세대 (2003년-2009년)

5세대 골프(코드명 1K)는 2003년 가을 독일에서 발표 및 출시되었고(일본 도입은 2004년), 2004년 초 영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조작 안정성 향상, 내외장 및 기관의 질감 향상, 거주 공간 확대, 비용 재검토를 주안점으로 개발되었다. 선대 모델의 흐름을 잇는 정상적인 진화이지만, 성능과 품질 모두 대폭 향상되었다. 선대 모델에 이어 플랫폼은 아우디 A3를 기반으로 개량을 더한 것이 이용되었다.
외관상으로는 트윈 서클 헤드라이트와 그 아래에 배치된 가로형 턴 시그널, 위로 솟아오른 보닛 위의 캐릭터 라인 등이 특징이다. GTI나 GT 등의 일부 등급에는 아우디와 마찬가지로 대형 "와펜 그릴"이 채용되었다.
직분사 엔진이 전 차종에 탑재되었으며, 6단화된 AT와 함께 연비 절감 효과가 향상되었다. 모델 수명 중반에는 AT보다 고효율의 "DSG"라고 불리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사용되었다. 엔진도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소배기량화되어, 그 출력 저하분을 과급기로 보충하는 방침(소위 "다운사이징"화)이 취해졌다. 이러한 조합으로 연비 절감과 동력 성능, 양쪽 모두의 향상을 도모했다. 5세대 후기 모델은 전륜구동 방식의 1.4리터 TSI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을 도입했다. 서스펜션은 전륜에 맥퍼슨 스트럿, 후륜에 4 링크 방식을 적용했다.
주요 모델 라인업
- 기본 모델: 3도어 및 5도어 해치백 형태로 출시되었다. 북미에서는 2006년에 차량을 출시하면서 '''래빗'''이라는 차명을 다시 사용했다. 캐나다에서는 골프가 여전히 5세대에서 일반적인 차명으로 사용되었다. 북미 기본 모델은 2.5리터 5기통 엔진을 사용하며, 2006년과 2007년에는 112kW의 출력을 냈지만, 이후 모델에서는 127kW으로 향상되었다.
- GTI: GTI 버전은 2.0리터 FSI 엔진의 터보차저 버전을 사용하여 147kW의 출력을 낸다. GTI 버전은 멕시코에서 판매되는 유일한 버전이다.
- R32: R32 버전은 3.2리터 VR6 엔진을 탑재하여 출력 184kW으로 향상되었으며, Haldex Traction 기반의 4motion 파트타임 사륜구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R32는 2005년 유럽 시장을 위해 한정 생산되었다. 이후 2007년, 미국 시장을 위해 R32 5,000대가 제작되었으며, 각 차량의 생산 번호가 스티어링 휠에 레이저로 새겨져 있었다.
파생 모델5세대 골프를 기반으로 다양한 파생 차종이 준비되었다.
- 골프 플러스: 전고를 85mm 높여 실내 공간을 넓힌 모델이다.
- 크로스골프: 골프 플러스를 기반으로 크로스오버풍 외관으로 다듬은 모델이다.
- 투란: 골프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7인승 미니밴이다.
- 골프 바리안트: 스테이션 왜건 모델로, 명칭을 바리안트로 변경하여 늦게 등장했다 (2007년 출시).
- 제타: 세단 버전으로, 폭스바겐에 의해 널리 판매되었으며, 독일, 남아프리카, 멕시코에서 조립되었다. 유럽 시장과 멕시코를 포함한 특정 시장에서는 ''보라''로 판매되었다.
시장 반응 및 평가폭스바겐은 미국 시장을 위해 "모든 운전자 내면에 존재하는 '빠름'에 바쳐진" "Fast" 마케팅 캠페인을 도입했으며, GTI 5세대 구매자에게 ''Fast'' 플라스틱 조각상을 제공했다.[10]
''카 앤 드라이버'' 매거진에서 실시한 비교 테스트에서 래빗은 8대의 소형차를 상대로 승리했다. 래빗은 운전 자세, 계기판, 엔진에 대해 칭찬을 받았으며, 노면 소음, 좌석, 좋지 않은 연비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래빗은 또한 2006년 12월 최종 비교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역대 최초로 일본 카 오브 더 이어 "임포트 카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다.
3. 6. 6세대 (2009년-2012년)

6세대 골프(Mk6, 형식명 5K)는 5세대 골프의 PQ35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2008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1][12] 독일에서는 2008년 10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고, 영국에서는 2009년 1월,[15] 일본에서는 2009년 4월, 북미에서는 2009년 10월에 2010년형 모델로 출시되었다.[16] 북미 시장에서는 이 모델부터 기존의 '래빗(Rabbit)'이라는 이름 대신 다시 '골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디자인은 폭스바겐의 수석 디자이너 발터 드 실바가 맡았으며, 이전 모델보다 공기역학 성능을 개선하여 연비 향상과 정숙성 증대에 기여했다. 특히 5세대 모델에서 지적받았던 내부 마감 품질을 4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면서도 사용자 편의성은 유지하고자 했다. 외관에서는 역대 골프 모델 중 처음으로 사이드 몰딩이 사라졌다. 폭스바겐은 또한 6세대 골프가 이전 모델보다 생산 비용이 절감되었다고 밝혔다.[13] 정숙성 향상을 위해 차음재가 포함된 앞유리와 휠 하우스 내 차음재 등을 적용하여 외부 소음 유입을 억제했다.[141]
기술적으로는 커먼 레일 분사 방식을 적용한 TDI 디젤 엔진이 기존의 펌프-듀제(PD) 단위 인젝터 시스템을 대체했다. 또한 운전자가 '노멀', '컴포트', '스포츠' 모드를 선택하여 서스펜션, 스티어링, 가속 페달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어댑티브 섀시 컨트롤(북미 시장 제외, 일본 사양 미적용)[14]과 주차 시 스티어링 조작을 돕는 파크 스티어링 어시스턴스(일본 사양 미적용)[142] 같은 새로운 기능이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변속기는 5단 및 6단 수동 변속기와 6단 또는 7단 DSG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북미 시장에서는 130kW의 출력을 내는 2.5리터 직렬 5기통 가솔린 엔진(240Nm 토크)과 100kW의 출력을 내는 2.0리터 터보차저 직렬 4기통 TDI 디젤 엔진(320Nm 토크)이 탑재되었다.[17] 고성능 모델인 GTI에는 157kW 터보차저 직렬 4기통 TSI 가솔린 엔진이, 골프 R에는 191kW 터보차저 TFSI 직렬 4기통 엔진이 장착되었다. 이들 엔진은 3도어 또는 5도어 모델에서 6단 수동 또는 6단 DSG 변속기와 조합될 수 있었다. 일본 시장에서는 모든 모델에 TSI 엔진과 6단 또는 7단 DSG만 탑재되었고, TDI 엔진과 수동 변속기 모델(GTI, R 포함)은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
6세대에서는 1세대 이후 단종되었던 GTD 모델(디젤 고성능 버전, 일본 미출시)과 4세대 이후 명맥이 끊겼던 컨버터블 모델인 '카브리올레'가 부활했다. 카브리올레는 소프트탑을 채택하여 하드탑을 사용한 폭스바겐 이오스와 차별화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210mm, 전폭 1790mm, 전고 1485mm, 휠베이스 2575mm 수준으로 5세대와 거의 비슷했다. 서스펜션은 전륜에 맥퍼슨 스트럿, 후륜에 4링크 멀티링크 방식이 사용되었다.
6세대 골프는 2009년 일본 올해의 자동차 '수입차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으며, 이는 5세대에 이은 두 번째 수상이었다. 또한 같은 해 세계 올해의 자동차 상도 수상했다. 안전성 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아, 2012년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 협회(IIHS)로부터 '톱 세이프티 픽(Top Safety Pick)'으로 선정되었다.[18]
3. 7. 7세대 (2012년-2020년)

7세대 골프(Typ 5G)[20]는 2012년 9월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9] 이 모델은 3세대 아우디 A3, SEAT 레온, Škoda Octavia와 공유하는 새로운 MQB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전 6세대 모델(Mk6)과 비교하여 전장, 전폭, 휠베이스는 약간 커졌지만 전고는 낮아졌고, 엔진 선택에 따라 약 100kg 가벼워져 더욱 날렵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차체 골격 전반을 새롭게 설계하면서 프론트 액슬을 앞으로 이동시켜 오버행을 줄였다. 외관 디자인은 이전 세대의 형태를 기본적으로 따르면서도, 사이드 미러 부근에 시야 확보를 위한 작은 창을 새로 추가했다.
실내는 운전석 쪽으로 기울어진 비대칭 형태의 대시보드 패널을 적용했으며 레그룸을 더욱 넓혔다. 또한, 밀리파 레이더와 카메라를 이용한 '프리 크래시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같은 첨단 안전 장비를 도입했고, 새롭게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를 장착했다(단, 미국 사양은 기존의 수동식 사이드 브레이크 유지).
엔진 라인업은 매우 다양해졌다. 가솔린 모델인 'TSI'는 1.2L, 1.4L, 실린더 비활성화 시스템(ACT) 기능이 포함된 1.5L Evo, 그리고 고성능 모델인 GTI와 R에 탑재되는 2.0L 엔진이 제공되었다. 디젤 모델인 'TDI'는 1.6L와 2.0L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압축 천연 가스(CNG)를 사용하는 골프 TGI, 순수 전기차인 e-Golf,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골프 GTE까지 출시되었다. MQB 플랫폼 덕분에 폭스바겐 공장에서는 가솔린, 디젤, 천연가스, 전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구동 방식의 골프 모델을 동일한 생산 라인에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51] 변속기는 주로 7단 DSG가 조합되었고, GTI와 R 모델 일부에는 6단 수동변속기 또는 6단 DSG가 적용되었다. 구동 방식은 기본적으로 전륜구동이며, 골프 R 등 일부 모델에는 할덱스 트랙션 기반의 사륜구동 시스템(4Motion)이 탑재되었다. 서스펜션은 전륜에 맥퍼슨 스트럿, 후륜에는 4링크 또는 트레일링 암 방식이 사용되었다.
고성능 모델 라인업도 강화되었다. 골프 GTI는 154kW(210 PS)의 출력을 내는 2.0리터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선택 사양인 '퍼포먼스 팩'을 적용하면 출력이 162kW(220 PS)까지 향상되었다.[21] 2016년에는 출력을 195kW(265 PS)까지 높인 GTI 클럽스포트가 출시되었고, 그 변형 모델인 클럽스포트 S는 혼다 시빅 타입 R이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가장 빠른 전륜구동 자동차 기록을 보유했다. 최상위 모델인 골프 R은 새롭게 개발된 1984cc EA888 가솔린 직분사(FSI) 터보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출력 300 PS(221kW), 최대 토크 380Nm를 발휘했다 (단, 호주, 일본, 미국 등 일부 고온 기후 시장에서는 280 PS(206kW)로 조정됨).[22] 사륜구동 시스템을 바탕으로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h까지 5.1초(DSG 변속기 모델은 4.9초) 만에 도달했으며, 최고 속도는 시속 155mph에서 전자적으로 제한되었다.
2016년 11월, 폭스바겐은 7세대 골프의 페이스리프트 버전(골프 7.5)을 공개했다. 3도어 및 5도어 해치백, 5도어 에스테이트(왜건), GTI, GTE 모델과 함께 새로운 'R-Line' 트림이 추가되었다. 이 모델에는 기존 1.4리터 TSI 엔진을 대체하는 새로운 1.5리터 TSI EVO 엔진(97kW 또는 110kW)이 도입되었다. 업데이트된 GTI는 기본 출력이 230hp로, 퍼포먼스 팩 적용 시 247hp로 향상되었다. 실내 기술 측면에서도 아우디 모델과 유사한 12.3인치 TFT 디스플레이 '버추얼 콕핏'을 옵션으로 제공했으며, 풀 LED 헤드라이트와 애니메이션 기능이 포함된 LED 테일램프(옵션) 등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19년형 모델로는 미국과 캐나다 시장에 한정판 래빗 에디션 GTI가 출시되었다. 미국 시장에는 3,000대(콘플라워 블루 1,000대, 우라노 그레이 1,000대, 블랙 500대, 화이트 500대)가, 캐나다 시장에는 900대가 판매되었다. 이 에디션은 LED 조명 패키지, 'Vmax' 스포일러, 글로스 블랙 색상의 약 45.72cm '프레토리아' 알로이 휠, 선루프 제외, 폭스바겐 래빗 로고가 새겨진 빨간색 태그가 달린 클라크 플래드(체크무늬) 시트 등을 특징으로 했다.[23]
7세대 골프는 유럽 올해의 차, 세계 올해의 차, 골든 스티어링 상 등 권위 있는 상을 여럿 받았으며, 수입차로는 최초로 일본 올해의 차 대상을 수상했다. 7세대 모델 생산 기간 동안 골프 시리즈의 전 세계 누적 생산 대수는 3,500만 대를 넘어섰다.
멕시코 푸에블라 공장에서의 7세대 골프 생산은 2021년에 종료되었다.[24]
3. 8. 8세대 (2019년-현재)

8세대 골프(Mk8, 형식명 CD1)는 2019년 10월 24일 독일 볼프스부르크에서 공개되었다.[143] 이 모델은 폭스바겐 그룹 MQB 플랫폼의 업데이트된 버전(MQB evo)을 기반으로 하며, 전동화, 디지털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다.[143] 8세대부터는 판매 부진으로 인해 3도어 해치백 모델이 단종되었고, 5도어 해치백과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 모델만 제공된다.
외관상 전면부 라디에이터 그릴에는 LED 라이트 바가 적용되었으며, 후면 해치도어의 폭스바겐 로고 아래에는 세부 트림명이 부착된다. 실내는 약 26.04cm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디지털 계기판 "Digital Cockpit Pro"와 디지털 제어 패널을 중심으로 완전히 디지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었다. 또한, 최신 통신 모듈을 내장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기본으로 탑재된다. 변속기는 이전 모델보다 훨씬 작아진 전자식 기어 레버(Shift-by-wire)가 적용되었다.
모든 8세대 골프 모델에는 트래블 어시스트, Car2X(V2X 통신 기술), 제동 중 전방 차량 감지 기능과 같은 첨단 안전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된다. 특히 Car2X와 전방 차량 감지 기능은 폭스바겐 양산 모델 중 처음으로 적용된 기술이다. 또한, 운전자가 의식을 잃는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긴급 정지 지원 시스템 "Emergency Assist"와, 전방 카메라로 차량을 감지하여 22개의 LED를 개별 제어하는 LED 매트릭스 헤드라이트 "IQ.LIGHT", 다이내믹 턴 시그널 등의 최신 기술이 적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파워트레인은 기존의 TSI 가솔린, TDI 디젤, TGI 압축천연가스(CNG) 엔진 외에, 폭스바겐 최초로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한 eTSI 모델과 두 가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GTE) 모델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 TSI: 130PS 이하의 가솔린 엔진에는 효율적인 밀러 연소 방식과 가변 터보차저 지오메트리가 적용되며, 1.5L 엔진에는 특정 주행 조건에서 일부 실린더를 비활성화하는 액티브 실린더 관리 기능이 탑재된다.
- eTSI: 48V 벨트 스타터 제너레이터와 48V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하여 모터의 도움으로 부드러운 출발과 가속을 지원한다.
- PHEV (GTE): 13kWh 용량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재하여 전기 모터만으로 주행(EV 모드)이 가능하다.
- TDI: 새로운 트윈 도징 SCR(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을 적용하여, AdBlue를 이중 분사함으로써 이전 모델 대비 질소 산화물(NOx)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였다.
고성능 모델로는 GTE와 GTI(최고 출력 245PS), GTD(최고 출력 200PS), 그리고 골프 R(최고 출력 320PS)이 있다. 이전 세대에서 판매되었던 순수 전기차 모델인 e-Golf는 폭스바겐 ID.3로 대체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22년 1월 5일에 150PS 2L 커먼레일 디젤 엔진(EA288 EVO)을 탑재한 TDI 모델이 먼저 출시되었다(복합연비 17.8km/L). 이후 2022년 12월 15일에는 245PS 2L 가솔린 터보 엔진(EA888)을 장착한 GTI 모델이 추가되었다(복합연비 11.5km/L). 대한민국에 판매되는 GTI와 TDI 모델에는 모두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SG)가 조합된다. GTD, GTE, 골프 R 등 다른 고성능 및 친환경 모델은 대한민국 시장에 공식적으로 판매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2021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일본 올해의 자동차에서 "수입차 올해의 차" 부문을 수상했다. 이로써 골프는 5세대 모델부터 8세대까지 4회 연속으로 해당 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스테이션 왜건 모델인 바리안트는 이전 모델 대비 휠베이스가 50mm 연장되어 뒷좌석 공간 활용성과 승차감을 개선했다.
4. 전기차 버전
폭스바겐 골프는 몇몇 세대 변화를 거치며 전기 자동차 모델인 '''시티-스트로머'''(''CityStromer'')를 만들었다. 1970년대, 폭스바겐은 골프 Mk1을 기반으로 전기 엔진으로 구동되는 자동차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이후 골프 Mk2 세대에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한정판 전기 자동차를 제작했는데, 납 축전지 배터리 팩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모터와 컨트롤러는 주문 제작 방식으로 포함시켰다.
폭스바겐은 골프 Mk3를 기반으로 한 시티-스트로머 생산을 이어갔다. 시티-스트로머 Mk3는 지멘스(Siemens)의 AC 드라이브 시스템과 납 축전지 배터리 팩을 장착했다. 최고 속도는 60mph였고, 주행 가능 거리는 약 약 80.47km였다.[25]
시티-스트로머 모델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좌핸들 버전으로만 제작되었다. 희귀성 때문에 유럽 본토에서 인기가 있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영국에는 소수의 시티-스트로머만 존재하는데, 특히 영국 시장을 위해 제작된 우핸들 Mk2 시티-스트로머는 단 두 대뿐이었고 현재는 한 대만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차량은 전기 자동차(EV) 옹호자이자 방송인인 니키 고든-블룸필드(Nikki Gordon-Bloomfield)가 소유하고 있다.[26]
4. 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버전
폭스바겐은 골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버전을 여러 세대에 걸쳐 개발하고 출시했다.=== 트윈 드라이브 (Twin Drive) ===
폭스바겐의 CEO였던 마틴 빈터코른(Martin Winterkorn)은 골프 Mk5를 기반으로 한 '트윈 드라이브'(Twin Driv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초기 목표는 122마력의 2.0리터 터보-디젤 엔진과 82마력의 전기 모터(리튬 이온 배터리 사용)를 결합하여 총 240마력의 출력을 내고, 배터리만으로 50km (약 31마일)를 주행하는 것이었다.
2008년에 시작된 "전기 이동성 분야의 차량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폭스바겐은 골프 바리안트(왜건 모델) 기반의 트윈 드라이브 연구용 차량 20대를 제작했다. 이 차량들은 57km의 전기 주행 거리를 가졌으며, 내연 기관을 포함한 총 주행 가능 거리는 900km에 달했다.
연구용 차량에는 11.2 kWh 또는 13.2 kWh 용량의 리튬 이온 배터리 팩이 장착되었는데, 이는 폭스바겐이 두 공급 업체의 배터리를 테스트했기 때문이다. 10대는 미국-독일 합작사 GAIA의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NCA) 양극재 배터리를 사용했고, 나머지 10대는 한국-독일 합작 회사인 SB LiMotive(삼성과 보쉬)의 니켈 망간 코발트(NMC) 양극재 배터리를 사용했다. SB LiMotive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은 2011년 초부터 운용되었다. 두 배터리 시스템 모두 높은 출력과 에너지 밀도를 제공했으며, 각 배터리의 무게는 약 150kg이었다. 가솔린 엔진은 낮은 외부 온도에서 전기 난방 시스템을 보조하는 데 사용되었다.[27]
폭스바겐은 이 차량의 예상 연비를 2.1 L/100 km (112 mpg US), CO2 배출량을 49 g/km로 추정했다.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는 전기 에너지 사용을 최대한 늘리도록 설계되었고, 장거리 주행 시에는 가솔린 연료 사용 비중이 높아졌다. 차량의 최고 속도는 170km/h이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하는 데 12초가 걸렸다. 순수 전기 모드만으로는 최고 12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27]
이후 양산 버전은 골프 Mk6를 기반으로 1.5 L 터보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를 탑재하여 2015년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28] SEAT 레온의 트윈 드라이브 프로토타입도 함께 개발되고 있었다.
=== 골프 GTE ===
골프 7세대(Mk7)부터는 '''골프 GTE'''라는 이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정식 라인업에 포함되었다.[51]
골프 8세대(Mk8)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엔진 옵션이 추가되었다. 이 모델들은 EV 모드 주행이 가능한 13 kWh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다. 고성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GTE는 의 시스템 출력을 발휘한다.
5. 경쟁 차종
wikitext
제조사 | 차종 |
---|---|
현대자동차 | 아반떼, i30 |
기아 | K3 |
쉐보레 | 크루즈 |
르노코리아(구 르노삼성자동차) | SM3 |
혼다 | 시빅 |
토요타 | 코롤라 |
폭스바겐 | 제타 |
스코다 | 라피드 |
세아트 | 레온 |
포드 | 포커스 |
닛산 | 센트라 |
마쓰다 | 3 |
오펠 | 아스트라 |
푸조 | 308 |
르노 | 메간, 플루언스 |
6. 각주
2008년 독일에서 발표 및 판매되었으며, 일본에는 이듬해인 2009년 4월부터 도입되었다.
이번 모델 변경을 통해 미국 사양의 명칭이 래빗(Rabbit)에서 골프로 통일되었고, 타코미터의 눈금이 1/100에서 1/1000 단위로 변경되었다.
"자동차 역사에 자랑할 만한 특별한 차"를 핵심 가치로 내세우며 정숙성과 고급감을 더욱 향상시켰다[141]. 특히, 소음 방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차음층이 포함된 앞 유리와 휠 하우스 내부에 차음재를 사용하는 등 외부 소음 유입을 억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차체 크기나 서스펜션을 포함한 플랫폼은 이전 세대 모델과 거의 동일하지만, 역대 골프 모델 중 처음으로 사이드 몰딩이 없어졌으며, 차체 패널과 내·외장 디자인이 새롭게 변경되었다.
당시 C 세그먼트 차량으로는 혁신적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과 주차 시 핸들 조작을 보조하는 '파크 스티어링 어시스턴스' 기능이 처음으로 탑재되었다(단, 일본 사양에는 적용되지 않음)[142].
일본 사양의 경우, 모든 모델에 TSI 엔진과 6단 또는 7단 DSG가 장착되었으며, 독일 본토에는 설정되어 있는 TDI 엔진과 MT 사양은 GTI와 R 모델을 포함하여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았다.
초대 모델 이후 처음으로 GTD 모델(일본 미출시)이 다시 등장했으며, 4세대 모델 이후 중단되었던 오픈 모델인 카브리올레도 부활했다. 카브리올레 모델은 소프트탑을 채택하여 하드탑을 사용한 이오스 모델과 차별점을 두었다.
이전 세대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일본 올해의 자동차 "수입차 오브 더 이어"를 수상했으며, 역대 골프 모델 중 최초로 세계 올해의 자동차 상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a del VW Golf
https://www.daswelta[...]
2022-05-19
[2]
웹사이트
30 millionth VW Golf rolls off assembly line in Wolfsburg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3-06-14
[3]
뉴스
VW Golf build passes 25 million
http://www.carmagazi[...]
2007-03-30
[4]
웹사이트
Golf turns 45 – On 29 March 1974, Volkswagen started making Europe's most successful car
https://www.volkswag[...]
2022-06-11
[5]
서적
Deutsche Autos 1945–1990, vol.3
Motorbuch Verlag
[6]
웹사이트
Top 5 World's Most Successful Cars Ever
http://www.automotop[...]
[7]
웹사이트
Previous Winners
https://web.archive.[...]
Car of the Year
2011-11-09
[8]
서적
Deutsche Autos 1945–1990, vol.3
Motorbuch Verlag
[9]
웹사이트
Goodbye Citi Golf | TopCar
https://web.archive.[...]
2009-11-03
[10]
웹사이트
Volkswagen Fast
http://www.neffink.c[...]
2021-08-02
[11]
뉴스
VW to Cut Costs to Produce Golf
https://www.wsj.com/[...]
2008-06-09
[12]
웹사이트
Erste Fotos vom VW Golf VI – Das ist der neue Golf – News
http://www.autobild.[...]
autobild.de
2008-08-04
[13]
웹사이트
New VW Golf revealed – Introduction – Car and Car-Buying News – What Car?
http://www.whatcar.c[...]
Whatcar.com
2008-08-06
[14]
웹사이트
6th Generation Volkswagen Golf Details and Photos
https://paultan.org/[...]
Paultan.org
[15]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Mark-6-unveiled
http://uk.cars.yahoo[...]
Uk.cars.yahoo.com
[16]
뉴스
VW kills Rabbit name, again
http://wheels.blogs.[...]
2009-03-27
[17]
웹사이트
2010 VW Golf TDI Review
http://www.automoblo[...]
Automoblog.net
2010-08-06
[18]
웹사이트
Awards & Accolades
http://web.vw.com/wh[...]
[19]
웹사이트
Paris 2012: the new Golf GTI - BBC Top Gear
https://web.archive.[...]
topgear.com
2012-09-27
[20]
간행물
Volkswagen Elektronischer Teilekatalog
Lex-Com GmbH
[21]
웹사이트
2014 Volkswagen Golf GTI Previewed In Paris By Concept
http://www.motorauth[...]
Motorauthority.com
2012-09-27
[22]
웹사이트
VW Golf R 2014 review
https://www.carmagaz[...]
2014-02-04
[23]
웹사이트
The Legendary Rabbit Name Makes a 2019 Comeback
https://newsroom.vw.[...]
[24]
웹사이트
Hasta la vista, Golf: despedimos la producción en México {{!}} VW
https://www.vw.com.m[...]
2022-05-19
[25]
웹사이트
CitySTROMer
http://www.citystrom[...]
Citystromer.cz
[26]
웹사이트
The CityStromer EV on PositiveTV
http://www.aminorjou[...]
[27]
웹사이트
Volkswagen presents status of fleet study in electromobility; latest generation of twïnDRIVE plug-in hybrid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1-06-29
[28]
웹사이트
VW Twin Drive plug-in hybrids not due until 2015
https://web.archive.[...]
Motorauthority.com
2008-09-04
[29]
웹사이트
VW provides update with a few more technical details on Golf blue-e-motion EV; market debut in 2014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0-11-09
[30]
뉴스
Volkswagen's First Electric Car Will Be Based on 2013 Golf
http://rumors.automo[...]
Automobiles Magazine
2010-04-22
[31]
웹사이트
Volkswagen announces electrification plan, 500 Golf EVs in 2011
http://green.autoblo[...]
AutoblogGreen
2010-03-01
[32]
웹사이트
Test fleet of the Golf blue-e-motion launched
http://www.technolog[...]
TechVehi
2011-05-11
[33]
뉴스
Volkswagen preps the Golf EV for 2013 launch
http://www.autoweek.[...]
AutoWeek
2011-06-16
[34]
웹사이트
Volkswagen Plugs In, Starts eGolf Test Fleet In California
http://www.greencarr[...]
Green Car Reports
2012-02-27
[35]
웹사이트
2015 Volkswagen e-Golf is ready to battle the Nissan Leaf
http://www.autoblog.[...]
Autoblog.com
2013-09-10
[36]
웹사이트
Volkswagen launches the battery-electric e-Golf in Germany; "Das e-Auto"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02-15
[37]
웹사이트
2015 Volkswagen e-Golf
http://www.fuelecono[...]
Fueleconomy.gov
2014-11-14
[38]
웹사이트
Volkswagen débute la production de la Golf électrique à Wolfsburg
http://www.avem.fr/a[...]
Association pour l'Avenir du Véhicule Electrique Méditerranéen (AVEM)
2014-03-10
[39]
웹사이트
2017 VW e-Golf Improves Strongly Over 2016 Model
http://www.automoblo[...]
Automoblog.net
2017-02-22
[40]
웹사이트
UK e-Golf – orders open, priced at £25,845
http://www.myvwegolf[...]
2014-03-19
[41]
웹사이트
VW provides details on e-Golf prior to launch at LA Auto Show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3-11-14
[42]
웹사이트
Europe December 2014
http://www.ev-sales.[...]
EVSales.com
2015-01-31
[43]
웹사이트
Volkswagen chooses to drop the liquid cooling on the e-Golf
http://www.myvwegolf[...]
My Electric Car News
2014-04-17
[44]
웹사이트
Volkswagen prices e-Golf in US at $35,445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08-25
[45]
웹사이트
Volkswagen e-Golf Availability
http://www.myvwegolf[...]
MECF
[46]
뉴스
VW ends production of electric e-Golf in favor of new ID.3
https://electrek.co/[...]
2020-12-23
[47]
웹사이트
Volkswagen: e-mobility and sustainability; Part 1, the e-Golf and Golf GTE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03-13
[48]
웹사이트
Promised VW Passat plug-in hybrid to debut at Paris show; both sedan and wagon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09-29
[49]
웹사이트
VW Golf GTE plugs in the GTI for guilt-free fun
http://www.autoblog.[...]
Autoblog.com
2014-02-20
[50]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VIII GTE specs & photos - 2020, 2021
https://www.autoevol[...]
[51]
웹사이트
Volkswagen to introduce Golf plug-in hybrid at Geneva; first deliveries in autumn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02-21
[52]
웹사이트
Germany August 2014
http://www.ev-sales.[...]
EVSales.com
2014-09-13
[53]
뉴스
Volkswagen Golf GTE Is The Most Popular Plug-In Hybrid In France
http://insideevs.com[...]
2016-02-06
[54]
뉴스
Hybrid sales expected to triple in Europe as tougher CO2 rules loom
http://europe.autone[...]
2016-03-15
[55]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GTE | New 2018 Range : Volkswagen UK
https://www.volkswag[...]
[56]
뉴스
Engstler Motorsport to run Volkswagen Golfs in TC3 Series in 2015
http://www.touringca[...]
2014-11-20
[57]
웹사이트
TCR Brand - contacts details for ordering
http://www.tcr-serie[...]
[58]
웹사이트
Essai Volkswagen Golf GTI TCR : dernière cartouche
https://www.largus.f[...]
[59]
웹사이트
How this clean air NGO caught Volkswagen cheating emissions tests
https://fortune.com/[...]
[60]
뉴스
'It Was Installed For This Purpose,' VW's U.S. CEO Tells Congress About Defeat Device
https://www.npr.org/[...]
NPR
2015-10-08
[61]
웹사이트
Car of the Year 1992
http://www.carofthey[...]
CaroftheYear.org
[62]
웹사이트
KBB Green: Top 10 Green Cars for 2010
http://www.kbb.com/k[...]
Kelley Blue Book
2010-04-01
[63]
뉴스
KBB's green cars list includes VW Golf TDI, Chevy Tahoe hybrid
http://content.usato[...]
2010-04-20
[64]
웹사이트
All-the-car-you'll-ever-need car of the Year 2012: VW Golf
http://www.topgear.c[...]
[65]
웹사이트
Car of the Year twice - 1992 & 2013
http://www.volkswage[...]
Volkswagen
[66]
웹사이트
Car of the Year 2013: VW Golf does it again
http://www.carofthey[...]
caroftheyear.org
2013-03-04
[67]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named 2013 World Car of the Year
http://www.autoblog.[...]
2013-03-28
[68]
웹사이트
第34回 2013 – 2014 日本カー・オブ・ザ・イヤー
http://www.jcoty.org[...]
[69]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family named "2015 Motor Trend Car of the Year"
http://www.greencarc[...]
Green Car Congress
2014-11-13
[70]
웹사이트
The 2015 Yahoo Autos Car of the Year: Volkswagen Golf GTI
https://autos.yahoo.[...]
2014-11-03
[71]
웹사이트
SA Car of the Year gong for Golf
https://www.carmag.c[...]
CarMag
2019-09-14
[72]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European sales figures
https://carsalesbase[...]
2022-01-21
[73]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US car sales figures
https://carsalesbase[...]
2022-01-21
[74]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Sales Figures
https://www.goodcarb[...]
2022-01-21
[75]
웹사이트
Volkswagen Golf China auto sales figures
https://carsalesbase[...]
2022-01-21
[76]
웹사이트
1982 to 1991 – New Brands, New Markets
https://www.volkswag[...]
2024-05-07
[77]
뉴스
Annual Report 1990
https://www.volkswag[...]
[78]
뉴스
Annual Report 1992
https://www.volkswag[...]
[79]
뉴스
Annual Report 1994
https://www.volkswag[...]
[80]
뉴스
Annual Report 1996
https://www.volkswag[...]
[81]
뉴스
Annual Report 1998
https://www.volkswag[...]
[82]
웹사이트
Australia 2000: Holden Commodore enjoys 5th year in a row at #1
https://bestsellingc[...]
2022-02-26
[83]
뉴스
Annual Report 2000
https://www.volkswag[...]
[84]
웹사이트
Australia 2002: Commodore in command, breaks monthly record
https://bestsellingc[...]
2022-02-26
[85]
뉴스
Annual Report 2002
https://www.volkswag[...]
[86]
웹사이트
Australia 2004: Commodore undisputed leader
https://bestsellingc[...]
2022-02-26
[87]
웹사이트
Brazil 2003
https://www.fenabrav[...]
2023-01-06
[88]
뉴스
Annual Report 2004
https://www.volkswag[...]
[89]
웹사이트
Brazil 2004
https://online.fliph[...]
2023-01-06
[90]
웹사이트
Australia 2006: Commodore limits fall thanks to new gen, Falcon down to #3!
https://bestsellingc[...]
2022-02-26
[91]
웹사이트
Brazil 2005
https://online.fliph[...]
2023-01-06
[92]
뉴스
Annual Report 2006
https://www.volkswag[...]
[93]
웹사이트
Brazil 2006
https://online.fliph[...]
2023-01-06
[94]
웹사이트
Australia 2008: Corolla ahead until July, Commodore saved by Sportwagon version, Toyota Hilux #1 twice
https://bestsellingc[...]
2022-02-26
[95]
웹사이트
Brazil 2007
https://online.fliph[...]
2023-01-06
[96]
뉴스
Annual Report 2008
https://www.volkswag[...]
[97]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08
https://www.autoo.co[...]
2021-03-12
[98]
웹사이트
Australia Full Year 2010: Commodore #1 for 15th year in a row
https://bestsellingc[...]
2022-02-26
[99]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09
https://www.autoo.co[...]
2021-03-12
[100]
뉴스
Annual Report 2010
https://www.volkswag[...]
[101]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0
https://www.autoo.co[...]
2021-03-12
[102]
웹사이트
volkswagen reports 35.1 percent increase in 2012 u.s. sales
http://media.vw.com/[...]
[103]
웹사이트
Australia Full Year 2012: Mazda3 leads again in record market, no local model on podium for the first time since 1930s!
https://bestsellingc[...]
2022-02-26
[104]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1
https://www.autoo.co[...]
2021-03-12
[105]
뉴스
Annual Report 2012
https://www.volkswag[...]
[106]
웹사이트
volkswagen reports December 2013 and year-end results
http://media.vw.com/[...]
[107]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2
https://www.autoo.co[...]
2021-03-12
[108]
웹사이트
Australia Full Year 2013: Toyota Corolla finally tops record market
https://bestsellingc[...]
2014-01-15
[109]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3
https://www.autoo.co[...]
2021-03-12
[110]
뉴스
Annual Report 2014
https://annualreport[...]
[111]
웹사이트
volkswagen of America reports December sales and 2015 year-end results
http://media.vw.com/[...]
[112]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4
https://www.autoo.co[...]
2021-03-12
[113]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5
https://www.autoo.co[...]
2021-03-12
[114]
뉴스
Annual Report 2016
https://annualreport[...]
[115]
웹사이트
VOLKSWAGEN OF AMERICA REPORTS DECEMBER AND 2017 YEAR-END SALES RESULTS
http://media.vw.com/[...]
[116]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6
https://www.autoo.co[...]
2021-03-12
[117]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7
https://www.autoo.co[...]
2021-03-12
[118]
뉴스
Annual Report 2018
https://annualreport[...]
[119]
웹사이트
VOLKSWAGEN OF AMERICA REPORTS DECEMBER AND 2019 YEAR-END SALES RESULTS
http://media.vw.com/[...]
[120]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8
https://www.autoo.co[...]
2021-03-12
[121]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19
https://www.autoo.co[...]
2021-03-12
[122]
뉴스
Annual Report 2020
https://annualreport[...]
[123]
웹사이트
Volkswagen of America reports Q4 and 2020 year-end sales results
https://media.vw.com[...]
2021-01-05
[124]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20
https://www.autoo.co[...]
2016-01-01
[125]
웹사이트
Carros mais vendidos do Brasil em 2021
https://www.autoo.co[...]
2016-01-01
[126]
뉴스
Annual Report 2022
https://annualreport[...]
[127]
뉴스
Annual Report 2023
https://www.volkswag[...]
[128]
웹사이트
The 5 most popular cars of all time (and they're all still in production)
https://www.thejourn[...]
2017-06-02
[129]
문서
[[福野礼一郎]]はジウジアーロ設計による初代ゴルフを極めて高く評価しているが、EA266にはそれ以上の高い評価を与えている。
[130]
서적
ワーゲン・ストーリー
グランプリ出版
1984-05-20
[131]
서적
ワーゲン・ストーリー
[132]
서적
ワーゲン・ストーリー
[133]
문서
カブリオを除き:1974年-1984年
[134]
문서
当時は[[フォルクスワーゲン・タイプ1|ビートル]]も併売されていたが、他社の新型車と比べると、すでに太刀打ちできない部分が多かった。
[135]
서적
80年代輸入車のすべて- 魅惑の先鋭 輸入車の大攻勢時代
三栄書房
[136]
웹사이트
【ゴルフのアプローチ 03】初代ゴルフのGTIは元祖「ホットハッチ」として人気を博した
https://web.motormag[...]
[137]
웹사이트
フォルクスワーゲン・ゴルフTSIハイライン(FF/7AT)いまでも「お手本」
https://www.webcg.ne[...]
[138]
서적
80年代輸入車のすべて- 魅惑の先鋭 輸入車の大攻勢時代
三栄書房
[139]
웹사이트
フォルクスワーゲン・ゴルフ オールトラックTSI 4MOTIION アップグレードパッケージ(4WD/6AT)【短評】
http://www.webcg.net[...]
WebCG
2015-08-13
[140]
문서
ゴルフIIIでは[[ターンフロー|カウンターフロー]]だったものを、[[クロスフロー]]に改良した後方排気エンジン。
[141]
웹사이트
6代目「フォルクスワーゲン・ゴルフ」デビュー
https://www.webcg.ne[...]
webCG
2024-07-05
[142]
웹사이트
新型フォルクスワーゲン・ゴルフVIの写真公開!
https://www.webcg.ne[...]
webCG
2024-07-04
[143]
뉴스
VW ゴルフ 新型、8世代目を発表…48Vマイルドハイブリッド採用
https://response.jp/[...]
レスポンス
2020-01-01
[144]
뉴스
153台燃えた立体駐車場火災、火元はVW「ゴルフTDI」…遮熱マット取りつけ不備で出火か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12-25
[145]
웹사이트
Secret opened: Golf namesake
https://www.automuse[...]
2021-08-14
[146]
웹사이트
Der neue Volkssport: Golf.
https://www.volkswag[...]
2021-08-14
[147]
웹사이트
Autobiography of BS©: How I Lied About The Golf
https://dailykanban.[...]
2021-08-14
[148]
서적
80年代輸入車のすべて- 魅惑の先鋭 輸入車の大攻勢時代
三栄書房
[149]
웹사이트
Der lange Weg zum Golf
https://www.autozeit[...]
2021-08-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